오늘은 두번째 팀프로젝트가 시작되는 날이다. 발제가 끝난 후 영화 예매 앱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결정해 역할 분담을 하게 되었다. 먼저 팀원분들이 작업을 시작하기 전 영화 API를 받아와 데이터 모델링을 진행하였다. 데이터 모델링 설정 , API 받아오기 영화 데이터는 TMDB에서 API Key를 발급 받아 데이터를 가져왔다. import Foundation let url = URL(string: "")! var components = URLComponents(url: url, resolvingAgainstBaseURL: true)! let queryItems: [URLQueryItem] = [ URLQueryItem(name: "language", value: "ko-KR"), URLQuery..
어제 마무리하지 못한 Github만들기가 오늘 성공했다 🙂 어제 왜 데이터가 연결되지 않았는지 살펴보고 새로운 라이브러리인 Kingfisher도 사용해봐서 이 내용을 정리 해보고자 한다! Github 인포 부분 Github API는 두 부분을 나눠 가져왔다, 먼저 어제 실패한 유저 정보를 가져오는 데이터를 살펴보자! let url = "" func fetchUser(completion: @escaping ((Result) -> Void)) { let url = "\\(self.url)" AF.request(url).responseDecodable(of: GithubUser.self) { response in switch response.result { case .success(let user): comp..
오늘은 챌린지과제인 Alamofire를 활용한 네트워킹 과정을 통해 내 github를 가져와 앱 만들기를 시작했다. URLSession 보다 손쉽다고 여기저기서 얘기를 들어서 그런가.. 오히려 URLSession 보다 적용이 어렵다.. 오늘 많은 시간을 넣었지만 데이터 연동에 성공하지 못했다.. 데이터만 연결되면 금방 만들 것 같은데.. 어렵다.. Alamofire 설치하기 먼저 Alamofire를 사용하려면 내 프로젝트에 깔아야 사용이 가능하니 일단 먼저 깔아보자. 원래는 홈브루를 깔아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 했는데 이것보다 더 쉬운 방법인 SPM 을 사용해 손쉽게 적용시켜주었다. 먼저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여기서 상단의 Package Dependencies 를 눌러 들어가면 이렇게 넣을 수 있는 곳이 등..
2024.04.10 - [◽️ Programming/T I L] - WishList 만들기 (1) - (URLSession 데이터 연결 완료) 2024.04.12 - [◽️ Programming/T I L] - WishList 만들기 (2) - (CoreData 연결) 오늘은 주말에 wishlist 만들기를 끝내고 싶어 코어데이터를 테이블 뷰에 나오도록 구현하고 데이터 삭제, 그리고 리프레쉬 하는 기능까지 넣어 과제를 완료 했다. 오늘 진행한 기능 구현을 블로그에 정리해보자 저장된 코어데이터 불러와 테이블 뷰에 표현하기 먼저 저장된 코어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이전에 구현해 놨던 코어데이터 요청하는 메서드를 다시 한번 보자 func getWishListFromCoreData() -> [Product]..
2024.04.10 - [◽️ Programming/T I L] - WishList 만들기 (1) - (URLSession 데이터 연결 완료) 오늘은 드디어 며칠동안 끙끙 앓던 코어데이터를 연결하는데 성공했다. 물론 모든걸 다 이해하고 연결한건 아니지만 그래도 결과를 냈다는거에 만족하고 이전에 만들었던 TodoList에도 코어데이터를 적용해보고 더 익숙해지는 과정이 있어야 할 것 같다. AppDelegate 코드 구성하기 lazy var persistentContainer: NSPersistentContainer = { let container = NSPersistentContainer(name: "WishList") container.loadPersistentStores(completionHandler..
WishList 만들기 (1) - (URLSession 데이터 연결 완료) 오늘은 새로운 숙련과제인 위시리스트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여기서 네트워킹과 코어데이터를 모두 사용해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네트워킹과 코어데이터에 관한 내용을 공부해야해서 강의듣는데만 시간을 아주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먼저 오늘은 시간 투자한거에 비해 많은 양을 하진 못하고 위시리스트를 만들어 API 와 연결하여 띄우기까지 성공했다. 스토리보드 구성 먼저 스토리보드를 구성해보자 스토리 보드는 간단하게 API에서 받아와 제품이미지, 정보를 띄우는 VC와 원하는 위시리스트를 담아두는 테이블뷰를 사용할 VC로 구성했다. 첫번째 VC에는 위시리스트를 담는 기능과 다음 제품을 확인할 수 있는 버튼, 그리고 위시리스트로 이동할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