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ding Substrings let str = "Hello, Swift" str.contains("Swift") // .contains("Swift") 는 str 안에 "Swift" 가 포함되어있는지 Bool 값으로 표현해준다. str.lowercased().contains("swift") // str 안에 String값을 모두 소문자로 변경한 후 "swift"가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다. -> true str.range(of: "swift", options: [.caseInsensitive]) let str2 = "Hello, Programming" let str3 = str2.lowercased() var common = str.commonPrefix(with: str2) common = str..
Format Specifier Format Specifier String(format: "%.5fKB", size) > 소숫점 5자리 수까지 표현 한 후 "KB"를 붙여 출력 한다 String(format: "Hello, %@", "Swift") String(format: "%d", 12) > 12를 출력한다. String(format: "%.3f", 12.34) > 소수점 3자리 수까지 , 즉 12.340 을 출력한다. String(format: "[%d]", 123) > 출력값 [123] String(format: "[%10d]", 123) > 출력값 앞쪽에 빈공간을 만든다. 출력값 [ 123] String(format: "[%-10d]", 123) > 출력값 뒷쪽에 빈공간을 만든다. 출력값 [123..
for 문 , where 조건 추가 for item in myArray where item % 2 == 0 { print("짝수: \(item)") }기존의 for 문에서 where 를 사용하여 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위의 코드는 myArray 배열에서 item에 값을 저장할 때 짝수만 저장하도록 구성된 코드이다. where 사용법에 대해서 숙지하자 enum 하나의 값 안에 경우(type)을 나눠 저장할 수 있다. enum School { case elementary case middle case high } enum School { case elementary, middle, high } 이 두개의 식은 동일한 식이며 표현 방법이 다른 enum의 문장구조 let yourSchool = School.h..
Optionals Type non-optional Type 항상 값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타입으로 nil 사용할 수 없다 예시 let str: String = "Swift"optional Type 값이 없어도 되는 타입 즉 nil 을 사용할 수 있다. 예시 let optionalStr: String? = nilUnwrapping Swift 에서는 optional 값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Unwrapping은 optional 값에서 실제 값에 접근하는 과정을 말한다. Force Unwrapping optional 값 뒤에 ! 를 붙여 강제로 optional을 해제하는 방법 이는 optional 값이 확실하게 nil이 아닐 경우에만 사용해야한다. 예시 let optionalValue: Int?..
Swift 함수 오늘은 함수에 대해서 간략하게 공부하였다. 반복적인 작업이나 복잡한 식의 경우, 함수를 이용하여 아주 편리하게 재사용 혹은 모듈화하여 사용할 수있다 func add(a: Int, b: Int) -> Int { return a + b } add(a: 12, b: 54)함수의 매개변수 (parameters) 는 함수에 전달되는 입력 값을 나타내며 함수를 호출 할 때 필요한 값을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함수 add 에서 매개 변수는 ' a ', ' b '이다. arguments 는 함수에 전달하는 값을 의미한다. 함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정보나 데이터를 받아야한다. 이를 바로 인자 즉 arguments 라고 한다. 함수는 아직 이해가 쉽지 않은..
비교연산자 비교연산자는 Bool 값으로 값이 정해진다. ex) var a = 15 var b = 17 a == b false a와 b는 같은가? true / fales a != b true !는 원래 나오는 Bool 값의 반대로 값을 정한다 a >= b false a and 연산자로써 a, b 모두 적용되는 값을 true a || b -> or 연산자로써 a, b 중 하나만 적용되어도 true 조건연산자 대표적으로 if문과 같이 어떠한 조건을 만족하면 Bool값을 정한다 ex) let hour = 12 if hour < 12 { "오전" } else { "오후" } if문을 한문장으로 깔끔하게 표현하려면 다음과 같은 연산자를 사용하면 된다. hour < 12 ? "오전" : "오후" ㄴ hour 조건이 ..